콘텐츠 정보5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6화에서 계향심 누나가 쓰는 이해안가는 표현들의 뜻 살펴보기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5편에서 향심이 언니가 구사하는 이해 안 가는 표현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충격적인 건 북한식 표현이라 이해 안 가는 거 아니라 전부 우리나라 표현이라는 점입니다. 4가지 표현인데요. 길티, 여간내기, 코가 떨어지다, 기카고 등입니다. '길티'의 뜻 첫 번째 길티. 길티는 드라마 이야기 진행 상 뜻을 추측할 수 있었는데요, 이건 '그렇지'라는 말의 북한식 발음이라 생각됩니다. 교도소에서 우영우와 최수연 변호사가 계향심과 이야기할 때 나온 표현이었어요. '여간내기'는 무엇? 여간내기라는 말의 뜻은 상대를 만만하게 볼 만큼 평범한 사람을 말한다고 합니다. 이 말은 북한식 표현이 아니라 우리나라 사전에 있는 말인데 평소에 잘 쓰지 않는 단어라 북한 표현이라 생각하기 쉬울 것 같네요. 이 말.. 2022. 8. 3. 갯마을 차차차 등장인물 소개 tvN에서 방영 중인 갯마을 차차차의 등장인물을 소개합니다. 윤혜진, 홍두식, 오춘재, 여화정, 장영국 이렇게 4명에 대한 소개입니다. 약간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1. 치과의사 윤혜진(배우 신민아) 성격은 까탈스럽고 카드값 때문이라도 일터에 나가지만 환자에 대한 정도는 지키는 치과의사. 물론 그 신념에 충실해서 환자에 대한 부당한 처방을 강요하는 치과 원장과 정면충돌하게 된다. 해고당한 뒤 분한마음에 홧김에 올린 치과 커뮤니티 올린 글로 치과바닥에서도 낙인 찍히면서 재취직도 안드로메다로. 울적한 마음에 옛추억에 있는 해안가 마을 공진에서 힐링하고 서울로 돌아가는 도중 받은 전화. 윤혜진을 쫓아낸 치과원장의 전화이다. 자기에게 무릎 꿇고 빌면 자기한테 덤빈거 봐준다는 말에 빡 제대로 쳐.. 2021. 9. 10. 넷플릭스 드라마 D.P(디피) 등장인물 짚고 넘어가기 D.P에 등장하는 등장인물 5명(안준호, 한호열, 박범구, 임지섭, 황장수)을 중심으로 이들의 성격과 특징들을 핵심만 짚어 정리했습니다. 등장인물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 드라마를 보는데 더 감칠맛 나게 볼 수 있을까 싶습니다. 5명의 상세 정보는 이렇습니다. 안준호 이병(정해인) 한호열 상병(구교환) 박범구 중사(김성균) 임지섭 대위(손석구) 황장수 병장(신승호) : 1,2화에서 안준호 이병 괴롭히던 놈 1. 안준호 이병(배우 정해인) 드라마 DP의 주인공입니다. 군입대 후 자대 배치 받은 지 얼마 안돼 DP가 되죠. 초반 번개탄으로 자살한 탈영병에 대한 죄책감으로 선임 때려눕히고ㄷㄷ;; 그 사건이 안준호를 DP생활을 충실히 하게 되는 자극제가 되죠. 불우한 가정환경에서 자랐고 어머니를 학대하는 아버지에.. 2021. 9. 9. 넷플릭스 D.P.(디피) 현실고증하면 말도 안되는 드라마?? 넷플릭스 DP를 뜻하는 탈영병 체포조의 병사 보직이 2022년부터 사라진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그 외에 기상천외한 현실 고증을 순도 100% 검증해봅니다. DP는 2022년부터 역사의 뒤안길로 2021년 9월 8일년 군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내용의 군사법이 국회를 통과했다고 합니다. 2018년부터 병사 스마트폰 사용이 허용되면서 탈영병 숫자도 눈에 띄게 준 뒤로 폐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하네요. 실제로 2016년과 2019년 탈영병 숫자를 비교해보면 절반 이상이 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선에서는 사법개혁이라는 타이틀로 아무 문제없었던 DP병과를 너무 급하게 없애는 것 아닌지 라는 우려가 있기는 하지만요. 어쨌든 이제 DP의 일은 2022년부터는 병사가 아닌 간부나 군무원이 하게 됩니다. 안준호 .. 2021. 9. 9. 넷플릭스 드라마 D.P.(디피)에서 DP와 단어들의 소름돋는 뜻 넷플릭스 DP에서 자주 나오는 4가지 표현이 가지는 섬뜩한 뜻을 얘기하려 합니다. DP, 관등성명, 아들 군번, 그리고 장교 대우, 부사관 대우가 그 단어와 표현들입니다. 숨겨진 뜻을 이해하면 더 재밌게 드라마를 보시거나 새로운 매력을 느끼실 거예요. D.P. 뜻 D.P. 는 헌병대 군무이탈 체포조(Deserter Pursuit)를 뜻합니다. 탈영병을 잡아오는 일을 하죠. 드라마 내용처럼 2인 1조로 활동비 지급받으며 활동하고 머리도 기를 수 있습니다. 탈영병은 한해 군을 통틀어서 평균 100명~400명 정도 발생합니다. 그리고 그중에 70% 이상의 탈영병들이 복무 부적응으로 탈영을 하고요. 부적응이라기보다 상식 밖의 강압적인 문화와 정신적 신체적 폭행 때문이겠죠. 왜 자꾸 '이병 안준호'를 왜 치는 거.. 2021. 9. 8. 이전 1 다음